일상생활에서 흔하게 발생 되고 있는 틱 장애의 원인은 무엇이며 나타나는 증상 그리고 치료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틱 장애에 대하여
틱 장애는 불규칙하고 돌발적인 신체 움직임이나 발성이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질환 입니다. 근본적인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4~11세 무렵 아동기~청년기 남아에게서 발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해당 시기를 지나면 저절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스스로 증상을 조절하기는 어렵지만 증상을 완화하는 것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이 지속되는 기간에 따라 일과성 틱증(1년 이내에 증상이 소실됨) 만성 틱증(1년 이상 지속됨)으로 분류되며, 여기에 다종의 운동틱과 한종류 이상의 음성틱이 1년 이상 지속될 경우 투렛 장애(투렛 증후군)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근본적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황입니다. 하지만 불안 긴장 흥분 피로 등으로 발생 하기 쉬우며, 불안 등 스트레스나 강도 높은 피로로 인해 악화되기 쉽고 심신이 안정된 상태일 때는 개선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 틱증은 다양한 환경적 요인으로 발생 할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TV를 너무 많이 봐서 눈이 피곤해진 것을 계기로 틱증이 발병한 사례도 있으며, 이외에도 눈 깜빡임 틱증의 경우 원래 결막염 등으로 눈이 가려워 눈을 깜박이던 것이 버릇이 되어 버려 틱 장애로 발전한 경우도 있어 환경적인 요인은 다양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불안이나 긴장 등 정신적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은 질병이기 때문에 상처받기 쉽거나 민감하게 느끼는 유형의 성격이 틱장애의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눈을 깜박이거나, 얼굴 찡그리기, 입을 일그러뜨리기, 혀를 내밀기, 코를 실룩거리기, 고개를 좌우로 흔들기 등의 동작성 증상(운동틱)과 헛기침, 코나 혀를 울리기, 외침이나 단어 연발 등의 음성성 증상(음성틱)으로 크게 나뉘며, 또 운동틱은 어깨를 움찔거리거나 발을 동동 구르기, 뛰어오르는 등 얼굴이나 목 이외의 부위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그 밖에도 상대방의 몸짓이나 말을 의도치 않게 따라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버릇이라는 인식을 하고 있는 틱장애지만 검사 진단은 증상과 지속시간을 중심으로 문진 시진 등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진에서는 틱 장애를 크게 세 가지 병형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운동틱 또는 음성틱 증상이 나타나는며 발병 후 1년 이내의 '잠정적틱증', 운동틱과 음성틱 중 하나의 증상이 1년 이상 나타나는 경우의 '지속성(만성) 틱증' 운동틱과 음성틱 모두 발병 후 1년 이상 경과한 '투렛증후군' 등 세가지 입니다. 또 ADHD나 강박증 등의 질병은 틱과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함께 검사를 진행 하기도 합니다. 증상이 비교적 가벼운 경우 약물치료 등은 진행 하지 않고 최대한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증상 호전에 도움을 주도록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정신요법이나 행동요법 등을 실시하기도 하며 무엇보다 틱 장애의 발생이 걱정할 필요가 없는 부분이라며 본인을 안심시키는 것이 최선의 치료가 될 수 있습니다. 학교 선생님이나 친구들이 병에 대한 이해를 한다면 별도의 치료가 이뤄지지 않고 호전 되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틱 장애로 인해 자존감이 떨어져 버린 경우에는 틱을 멈추기 위한 약을 처방받기도 합니다 틱 장애가 중증으로 학교생활에 지장을 주는 등 특히 문제가 되는 경우 단순 틱 장애에는 클로나제팜이나 디아제팜 등의 처방을 하며 생활에 지장을 주는 중증의 경우에는 항정신병약 등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틱의 근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긴장 불안 흥분 같은 스트레스가 증상의 유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치료 중에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인에게 증상을 지나치게 지적하거나 질책하는 것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걱정할 것 없다고 본인을 안심시켜 주는 것도 치료에 매우 중요한 방법입니다.
댓글